콘텐츠산업을 사랑하는 누구나
2022 콘텐츠산업포럼
콘텐츠가 이끄는 새로운 미래
2022년 4월 26일(화) ~ 4월 28일(목),
14:00~16:00, 16:00~18:00 / 총 3일간
정책, 금융, 음악, 이야기, 게임, 방송 / 총 6분야
한국콘텐츠진흥원 유튜브 온라인 생중계
연사 발제, 종합토론, 실시간 질의응답, 랜선 공연 등
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 내 사전등록
※ 사전등록 시, 참가 안내 알림과 함께 다양한 이벤트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사전등록을 하지 않아도 포럼에 함께하실 수 있습니다.
2022 콘텐츠산업포럼은 ‘콘텐츠산업 미래전략’에 대한 지혜를 모아보고자 합니다. 디지털 전환, 포스트 코로나에 따른 대전환기, 왜 지금 콘텐츠산업을 주목해야 하는지 이야기합니다. 글로벌 진출, 콘텐츠IP 확장, 신융합 콘텐츠 등장 등 우리 콘텐츠산업이 새로운 미래를 어떻게 개척 . 탐색 . 전환하고 있는지 장르별로 살펴봅니다. 더불어 콘텐츠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새로운 도약을 위한 정책방안에 대해 공감대를 만들고자 합니다.
콘텐츠산업포럼은 콘텐츠산업을 선도할 미래 정책 비전을 제시하는 포럼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개최하며, 정책 전반, 금융, 음악, 이야기, 게임, 방송 총 6개 분야로 진행됩니다. 전문가들의 발제와 토론, 그리고 랜선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으며, 콘텐츠산업을 사랑하는 누구나(업계, 학계 전문가 및 일반인) 참여할 수 있는 행사입니다.
송진 본부장 / 한국콘텐츠진흥원 정책본부장
기술과 수익모델은 계속 변화하지만, 창의와 경험은 콘텐츠산업의 본질이자 변하지 않는 핵심가치이다. 대전환기, 미래 주력산업으로서의 콘텐츠의 중요성과 가치를 짚어본다.
김범주 본부장 / 유니티코리아
기술과 비즈니스의 진화에 맞춰 콘텐츠는 어떻게 변모해 왔는지, 앞으로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살펴본다.
- 유니티코리아 에반젤니즘 본부장
- 前 블루사이드, 엔씨소프트 - 애니메이션 연출업무 담당
이남주 국장 / CJ ENM
OTT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영상콘텐츠 시장 환경속에서 콘텐츠의 가치와 수익구조에 대한 고찰을 통해 미래 발전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 CJ ENM 국내콘텐츠사업국 국장
- CJ ENM의 방송, 영화, 애니메이션 유통 담당
디지털전환, 글로벌화 등 기술적·산업적 변화 속에 콘텐츠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모색한다.
(진행) 배진아 교수 / 공주대학교
- 공주대학교 영상학과 교수
- 미디어다양성위원회 위원
-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 언론진흥기금관리위원회 위원
- 한국언론학회 부회장
(패널) 남경보 리더 / 네이버웹툰
- 네이버웹툰 전략실 리더
- 前 퀄슨 COO
- 前 CGEX(코인원 글로벌 거래소) COO
- 前 라인플러스 사업실
- 前 네이버 제휴협력실
(패널) 조한규 부사장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카카오 콘텐츠사업팀 이사
- 前 KT 미디어 본부
- 前 CJ엔터테인먼트 전략기획
백승혁 단장 /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금융지원단
금융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방향에 대해 소개하고 정책금융의 발전적 제안을 통해 역할을 재조명한다.
오상민 부대표 / 로간벤처스(유) 투자본부
콘텐츠 분야의 가치평가 투자 유용성에 대해 소개하고 가치평가 펀드의 투자방향과 관점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문화콘텐츠 전문 심사역 : 콘텐츠 프로젝트 및 기업 투자실적 700억원, 창업
투자조합 펀드레이징 실적 1,500억원 보유
황영준 팀장 / 신용보증기금 문화콘텐츠지원센터
콘텐츠 보증사업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기업입장에서 보증을 받기 위해 준비해야 하는 사항에 관해 설명하고 콘텐츠 분야 융자 확대 방안을 제안한다.
콘텐츠 투융자 정책금융과 가치평가 유용성 등에 대한 이해를 갖고 향후 금융정책 수립 및 투융자활성화에 대한 쟁점들을 토론한다.
(진행) 김윤지 수석연구원 / 한국수출입은행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한류 수출 및 경제효과 연구
(패널) 이길준 대표 / 브러시씨어터
- 브러쉬씨어터 유한책임회사 CEO
- 아동청소년 공연 < 드래곤 하이 >,< 리틀 뮤지션 >,
< 두들팝 >, < G의 영역 >,< 웃는용 >,< 슈퍼클로젯 > 제작 및 연출
- 2020 예술경영지원센터 임팩트투자유치대회 최우수상
- 2019 대한민국 콘텐츠대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수상
(패널) 송민수 대표 / (주)유니드캐릭터
- (주)유니드캐릭터 대표
- 인도 시장 타깃 유아동 애니메이션 '크리켓팡' 제작하여 인도 방송,
캐릭터시장 진출 중인
- 애니메이션 스타트업- 2021년 인도 법인 설립(벵갈루루)
이성수 대표 / SM 엔터테인먼트
SM Culture Universe를 통해 나타날 SM의 콘텐츠, 미래 산업 전략을 소개한다.
- “Culture Technology" 발전과 진화에 기여해 왔으며, 전 세계 음악 시장을
세계화된 팝 문화 생태계로 조성해 가는데 일조
허원길 대표 / 포자랩스, Pozalabs
AI 작곡 기술에 대한 시장성, DATA 기반의 음악 생산 과정 등 인공지능 작곡의 현재 수준과 향후 쟁점을 논의한다.
- 포자랩스 창업자/대표이사
- 연세대학교 소프트컴퓨팅 연구실 학석사 과정 중퇴
- 2018년 3월 최대 음악축제 SXSW (South By SouthWest) 컨퍼런스
및 쇼케이스 발표
- 2018년 8월 KT 주최“인공지능 소설 공모전”1위 수상
갬블러크루
K-pop이라는 표현이 등장했던 시기부터 2021년까지 시대별로 히트했던 대중음악 속의 춤과 스트릿 댄스를 융합해 퍼포먼스로 구성한다.
- 2002 겜블러크루 단체 설립
- 소속 아티스트 평균경력 18년의 대한민국 대표 브레이킹 /
스트릿댄스 전문예술단체
- JTBC < 쇼다운 > 출연중
기술과 음악 산업이 융합되는 지점에서 발생할 새로운 시장과 도전을 위해 감수해야 할 요소, 향후 산업계에서 발생할 쟁점을 토론한다.
(진행) 차우진 평론가
- 저서 : < 청춘의 사운드 > < 대중음악의 이해 > 등
- 2020년부터 음악, 미디어, 기술을 기반으로 음악 산업의 이슈를 다루는
뉴스레터 티엠아이 에프엠을 발행 중
(패널) 박다겸 연구원 /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
-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엔터/미디어 섹터 선임연구원
- 前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 엔터/미디어 섹터연구원 (2018-2021)
(패널) 전이배 대표 / 폰에어
- 주식회사 폰에어 경영대표
- 주식회사 폰에어 경영대표
- ‘마이뮤직 스튜디오’컨텐츠 플랫폼 오픈
(인공지능 기반의 믹싱 마스터링 레코딩 어플)
- 前 다날, 아이리버, NHN벅스 근무
(음원 권리 투자유통, 음악 서비스 플랫폼 등)
(패널) 김영대 평론가 / 음악평론가
-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워싱턴대학교 음악학과 졸업(박사)
- Vulture, MTV 등 국내외 언론에 케이팝 관련 평론 기고
- 저서< BTS:The Review >,< 지금 여기의아이돌-아티스트 > 등
장민지 교수 / 경남대학교 미디어영상학
< 오징어 게임 >의 히트는 우리로 하여금 ‘시차’없는 문화 확산을 체험하게 했다. 그야말로 ‘K-콘텐츠의 시대’를 맞고 있는 지금 K-스토리 전략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지 살펴본다.
-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영상커뮤니케이션학과 석사/박사학위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 학회 학술상, 한국방송평론상 최우수상 수상
송진선 PD / 스튜디오드래곤
기획의 필수조건인 기획자의 시선과 의지에 대하여 논하고, 최근 캐릭터와 스토리의 변화 및 제작 환경의 변화, K-스토리의 해외 진출에 대해 살펴본다.
- 스튜디오 드래곤 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
< 명불허전 >, < 부암동 복수자들 >, < 김비서가 왜 그럴까 >,
< 멘탈코치 제갈길 >(22년 8월), < 커넥트 >(글로벌 ott 22년 오픈 예정),
< 방과후 전쟁활동 >(22년 하반기 티방)
- 前 sbs 드라마 프로듀서
< 못난이주의보 >, < 쓰리데이즈 >, < 돌아와요 아저씨 > 외
나윤희 작가 / < 고래별 > 작가
안데르센의 동화 '인어공주'를 한국적이고 아름답게 풀어내 단행본, 오디오드라마, 드라마까지 IP를 확장하고 있는 인기 웹툰 < 고래별 >의 나윤희 작가를 심층 취재한다.
- 2016-현재 네이버웹툰을 통해 < 지금 이 순간 마법처럼 >, < 고래별 > 연재
- 2014 레진코믹스에서 < 눈 먼 정원 >으로 데뷔
산업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실험과 시도를 살펴보고, 글로컬 콘텐츠를 위한 스토리 전략,
IP 기획과 개발 등 산업의 현황과 미래에 대해 토의한다.
(진행) 이재민 평론가
- 2017년 만화평론공모전 우수상
- 2019년 콘텐츠진흥원 평론공모전 기성부문에서 우수상.
- 독립만화 플랫폼 사이드비(SideB) 공동운영자.
- 웹진 웹툰인사이트 에디터
(패널) 이희윤 팀장 / 네이버 웹툰
- 웹툰/웹소설의 영상사업 및 웹툰화, 오디오콘텐츠, OST 사업 등
2차 사업화를 위한 다양한 고민과 시도를 하고 있다.
(패널) 신도형 부사장 / 투유드림 전략사업본부
- ㈜투유드림 IP 총괄 부사장 / ㈜스튜디오 투유 부사장
- 창작집단 스토리플러스 대표이사
-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겸임교수
- 웹툰 및 시나리오, 드라마 작가 / 피칭디렉터
(패널) 김현수 대표이사 / ㈜ 두루픽스
- (주)두루픽스 대표이사
- < 키즈 CSI 과학수사대 시즌1~2(MBC방영) > 제작책임
- < 안녕 토토비 시즌1~4(MBC방영) > 제작책임
- < 햄콩이 음악대 시즌2(MBC방영) > 제작책임
- < 토리고고(KBS방영) > 제작책임 외
박형철 실장 / 크래프톤 웹3.0라운드테이블
게임업계에 최근 논의되고 있는 웹3.0/C2E 개념을 소개하고, 이것이 게임산업의 생태계를 어떻게 바꿀 것으로 예측되는지 소개한다.
이평호 연구원 / 국립재활원 자립생활지원기술연구원
게임 이용의 문턱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소개하고, 게임 제작 시 고려되었으면 하는 점들에 대해 제언한다.
- 국립재활원 건강보건연구과 자립생활지원기술연구팀 연구원
- 주업무 :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개발연구 PD
- 전공 : 재활공학(학사), ICT융합재활공학(석사)
- 자격 : 보조공학사, 장애인 재활상담사
유저 중심의 생태계 구성, 유저 접근성 강화가 게임산업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 예측하고,
이를 업계 전반에 확산할 수 있는 방안과 정책을 모색한다.
(진행) 윤태진 교수 /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 20년 이상 미디어문화현상에 대한 강의․연구․집필 활동
(게임,웹툰,한류,TV쇼등 다양한 주제)
- 저서 < 디지털게임문화연구 >
- < 연세게임․이스포츠 연구센터(YEGER) >라는 연구 조직 운영을 통해
게임 문화 관련 연구 진행
(패널) 이유원 대표 / 반지하게임즈
- < 중고로운 평화나라 >, < 서울 2033 >, < 도토리카 > 등 게임 출시
- 보이스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 < 서울 2033 >의
메인 디렉터 :4년째 라이브 운영 및 콘텐츠 업데이트 담당
- 2021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인재원 교수 재직
(패널) 최승우 정책국장 / 한국게임산업협회
- 게임물관리위원회 규제입증위원회 위원
-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인재원 교육운영위원회 위원
(패널) 남유정 대표/ 나인코퍼레이션
- 2019-현재 [나인 크로니클] 디렉터
- 2018 Product Owner, 도도 서비스 총괄 (주)스포카
- 2014-2018 UX Designer, 메시지 신사업 서비스 총괄 (주)스포카
- 2011-2014 UX 랩 연구원,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 디지털정보융합학과 석사
박철수 대표 / 필름몬스터
씨네틱드라마의 등장 등 영상콘텐츠 생산 시스템의 변화를 살펴보고, 넷플릭스 흥행작인 < 지금 우리 학교는 >의 제작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고민을 나눈다.
- ㈜필름몬스터 대표
∙ 2015년 영화 < 내부자들 > 제작
∙ 2018년 영화 < 완벽한 타인 > 제작
∙ 2019년 OCN 드라마 < 트랩 > 제작
∙ 2020년 넷플릭스 오리지널드라마 < 지금 우리학교는 >제작
- 前 CJ엔터테인먼트 투자사업부장
- 前 (유)내부자들 문화전문회사 대표
최민식 교수 / 경희대 법무대학원 지적재산법학과
콘텐츠 유통 환경의 변화 상황에서 창작자 보상에 대한 해외사례를 참고하여 공정한 콘텐츠 IP 비즈니스를 위한 정책 방향을 검토한다.
- 한국지적재산권경상학회 이사
- 한국지식재산학회 이사
- 前 상명대학교 지적재산권학과 특임교수
- 前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정책실장
- 前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책임
최경진 담당 / CJ ENM ESG담당
CJ ENM의 사례를 통해 국내 미디어 기업과 산업에서의 ESG 경영을 살펴보고, 콘텐츠 산업이 창출해야 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해 고민한다.
- 前 2014 CJ E&M IR팀장
- 前 2009 신한금융투자 연구위원
- 前 1999 굿모닝증권 연구원
최근 미디어 산업의 전반적인 변화 양상과 함께 K-드라마의 성공비결과 현장의 생산 시스템 변화를 살펴보고,
공정한 IP 배분을 위한 제도적 방향성과 ESG 경영 도입을 위한 현실적 방안을 논의한다.
(진행) 오은영 교수 / 서경대 영화영상학과
-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 영화드라마제작사 이오콘텐츠그룹 대표이사
- 前 CJ ENM 한국영화투자팀장
- 前 이수창업투자주식회사 문화콘텐츠 펀드매니저
- 前 쇼박스 한국영화팀 / 메가박스 마케팅팀 / 영화사 기획시대 기획팀
- 前 CGV강변 마케팅프로그래밍팀
(패널) 김연성 부사장 / 위매드
- 2019년 06월 ~ 현재 (주)위매드 공동 창업 / 부사장(사업총괄대표)
- MBC, 웨이브 8부작 드라마 < 러브씬넘버# >
- MBC 미니시리즈 < 옷소매 붉은 끝동 >
- IPTV 3사 드라마 < 그 놈 목소리 >
- 장안대학교 미디어스토리텔링과 초빙교수
(패널) 허주민 대표 / 스튜디오 WA
- 스튜디오 와 대표이사
- 방송프로그램 150여편 런칭 (제작사 IP 9개 확보)
- 2019년 3월~22년 3월 방송영상제작사협회 협회장
- 前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객원교수
- 前 제일기획
각 포럼별 궁금한 점이 있으면 글을 남겨주세요.
no | category | title | name | date | view |
---|---|---|---|---|---|
category | Frequently asked question about this pages and delevery process while ordered post didn't arrive 7 | admin | now | 50 | |
9 | category | Good design.I will be glad if you see my latest work. | Jack | 5 hour ago | 175 |
8 | category | awesome work..really very inspirational job.congrats | David James | 3 days ago | 534 |
7 | category | Beautiful design and layout.. Great job | BaByliss | dev 22 | 51 |
6 | category | Amazing work one really feels like in a stone age. Impressive! | Oliver Warren | dev 7 | 235 |
5 | category | Unbelievable divat not dive project itself is awesome but it's presentation here... congratulations! | DIANA | nov 31 | 165 |
4 | category | Excellent work! Great presentation! | Jett | nov 18 | 25 |
3 | category | od design.I will be glad if you see my latest work. | Lincoln | nov 17 | 266 |
2 | category | Beautiful design and layout.. Great job | Blaise | nov 13 | 369 |
1 | category | Amazing work one really feels like in a stone age. Impressive! | Raphael | nov 4 | 16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 / 약관 보기